TIL 7

TIL - 230815

오버로딩의 조건 💡 메서드 이름이 같아야 한다. 매개변수의 개수 또는 타입이 달라야 한다. 매개변수는 같고 리턴타입이 다른 경우는 오버로딩이 성립되지 않는다. (리턴타입은 오버로딩을 구현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한다.) Math.pow() public class Pow{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double result = Math.pow(5, 2); // 5의 제곱 System.out.println(result); } } // 출력 // 25.0 Math.pow() 메소드는 입력값과 출력값은 모두 double형이며 Math.pow(대상숫자,지수)를 넣는다. Math.sqrt() public class Sqrt{ public static void main..

TIL 2023.08.15

TIL -230808

instanceof 연산자 instanceof 는 객체 타입을 확인하는 연산자 객체가 어떤 클래스인지, 어떤 클래스를 상속받았는지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연산자 형변환 가능 여부를 확인하며 true/false 로 결과를 반환 주로 상속 관계에서 부모객체인지 자식 객체인지 확인하는데 사용 사용방법 객체(Object) instanceof 클래스(Type) class Parent{} class Child extends Parent{} public class Instanceof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Parent parent = new Parent(); Child child = new Child(); System.out.println( parent inst..

TIL 2023.08.11

TIL - 230807

Getter와 Setter 메서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의 데이터는 객체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객체 데이터를 외부에서 읽고 변경 시 객체의 무결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선호 데이터는 외부에서 접근하지 않도록 막고, 메서드는 공개해서 외부에서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유도한다. (메서드는 매개값을 검증해서 유효한 값만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 ⇒ 이러한 역할을 하는 메서드 = Setter 외부에서 객체의 데이터를 읽을 때도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객체 외부에서 객체 필드 값을 사용하기 부적절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메서드로 필드값을 가공 후, 외부로 전달한다. ⇒ 이러한 역..

TIL 2023.08.11

TIL - 230804

배열의 복사 [얕은 복사] 주소값 복사 B = A;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 8, 3}; int b[] = a; b[0] = 10; // 결과 확인 System.out.print("a Array : "); for (int v:a) System.out.print(v + " "); System.out.print("\nb Array : "); for (int v:b) System.out.print(v + " "); } } [결과] a Array : 10 8 3 b Array : 10 8 3 [깊은 복사] 복제. 새로운 메모리 공간에 값 복사 2. B = A.clone(); clone(); Object 클래스의 cl..

TIL 2023.08.11

TIL - 230803

리터럴 타입의 접미사 종류 리터럴 접미사 논리형 false, true 없음 정수형 123, 0b0101, 077, 0xFF, 100L L 실수형 3.14, 3.0e8, 1.4f, 0x1.0p-1 f, d 문자형 'A’, ‘1’, ‘\n’ 없음 문자열 “ABC”, “123”, “A”, “true” 없음 정수형과 실수형에는 여러 타입이 존재하므로, 리터럴에 접미사를 붙여서 타입을 구분함 정수형 long 타입의 리터럴에 접미사 1 또는 L 을 붙임 접미사가 없으면 int 타입의 리터럴 byte, short 타입의 리터럴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음 타입에 저장할 때는 int 타입의 리터럴을 사용함 10진수 외에도 2, 8, 16 진수로 표현된 리터럴을 변수에 저장가능 16진수라는 것을 표기하기 위해 리터럴 앞에 접..

TIL 2023.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