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er와 Setter 메서드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의 데이터는 객체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는다.
- 객체 데이터를 외부에서 읽고 변경 시 객체의 무결성이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는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를 변경하는 방법을 선호
데이터는 외부에서 접근하지 않도록 막고, 메서드는 공개해서 외부에서 메서드를 통해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유도한다.
(메서드는 매개값을 검증해서 유효한 값만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
⇒ 이러한 역할을 하는 메서드 = Setter
외부에서 객체의 데이터를 읽을 때도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객체 외부에서 객체 필드 값을 사용하기 부적절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메서드로 필드값을 가공 후, 외부로 전달한다.
⇒ 이러한 역할을 하는 메서드 = Getter
private으로 만들어서 getter, setter 쓰면 왜 private 을 사용하는가?
→ 필드를 public 으로 접근 가능하게 하면 열어두면 값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 데이터들이 올바른 값을 가질 수 있도록 getter, setter 사용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 230815 (0) | 2023.08.15 |
---|---|
TIL - 230810 (1) | 2023.08.11 |
TIL -230808 (0) | 2023.08.11 |
TIL - 230804 (0) | 2023.08.11 |
TIL - 230803 (0) | 2023.08.11 |